“지금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유럽은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고통을 감수해야 할 것입니다.”
이는 마리오 드라기 전 유럽중앙은행 총재가 현재 유럽이 직면한 현실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성장설계: 유럽의 전략과 한국의 대응』은 급변하는 세계 경제 속에서 유럽이 스스로 경쟁력과 지속 가능성을 회복하기 위해 제시한 다양한 전략적 접근을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이를 한국의 상황에 맞춰 재구성함으로써 현실적인 시사점과 실행 가능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현재 유럽은 역사적인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오랜 번영을 지탱해온 값싸고 풍부한 에너지 자원이 사라지고, 글로벌 경쟁 속에서 혁신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유럽은 말 그대로 ‘점진적 쇠퇴’라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돌파하기 위해 유럽은 지금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책은 드라기 전 총재의 「유럽 경쟁력의 미래」 보고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경쟁력 나침반」 전략, 그리고 세계경제포럼과 맥킨지앤컴퍼니의 실행 권고안 등 다양한 대응방안들을 종합하여, 유럽이 혁신과 탈탄소화, 전략적 자율성을 통해 어떻게 글로벌 경제 강국으로 다시 자리매김하려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특히 한국 독자들에게 이 책은 단순히 유럽의 전략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의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전략적 방향을 제시합니다. 한국 역시 저성장, 기술혁신 부진, 인구 고령화, 에너지 의존성, 공급망 취약성과 같은 다양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 책은 유럽 사례를 통해 한국이 직면한 문제들을 명확히 진단하고, 실현 가능한 구체적 전략을 권고합니다.
첫째, 유럽의 혁신 생태계 구축 모델은 한국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유럽은 '규제 간소화'와 '전략 산업 집중 육성'을 통해 기업과 스타트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규제를 재정비하고, 성장단계에 맞는 실질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둘째, 유럽의 에너지 전환 전략은 한국의 에너지 구조 전환에 중요한 참고가 됩니다. 유럽은 청정 에너지 투자와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경쟁력 강화 전략과 연계하여 접근하고 있습니다. 한국 또한 에너지 효율성 제고와 친환경 기술 개발에 대한 선제적 투자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탈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합니다.
셋째, 전략적 자율성 확보는 한국의 미래 성장과 안보에 필수적입니다. 유럽은 글로벌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적 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한국도 핵심 기술과 원자재 확보를 위한 전략적 다변화를 모색하고, 공급망의 회복력을 높이는 정책적 접근을 취해야 합니다.
『성장설계: 유럽의 전략과 한국의 대응』은 정책 입안자, 산업 리더, 학계 전문가뿐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바라는 모든 시민에게 실질적이고 통찰력 있는 지침서가 될 것입니다. 유럽의 사례가 한국의 새로운 성장 전략 수립을 위한 유익한 거울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 책은 전략 및 혁신 컨설팅 그룹 CGSI의 파트너들이 글로벌 리더들과 독자들을 위해 제작한 정책 보고서 『Europe’s Growth Strategy: Competing for the Future』를 바탕으로 합니다. 이 보고서는 유럽이 처한 도전과 기회를 분석하고, 경쟁력 회복과 성장을 위한 전략적 해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유럽 내 다양한 고위급 논의와 정책 제안들을 종합해, 앞으로의 방향성과 실천 가능한 전략을 제시한 것입니다.
CGSI는 유럽과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 쌓아온 전략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에 글로벌한 통찰과 유럽과 한국의 현실에 맞는 실행 가능성을 함께 담았습니다.